let n =Int(readLine()!)!let input =readLine()!.split { $0 ==" " }.map { Int($0)! }let m =Int(readLine()!)!var tree = [Int: [Int]]()var visited = [Int](repeating:0, count: n+1)Array(1...n).forEach { tree[$0]= [] }// 가족 관계를 인접리스트로 입력받는다. (양방향 간선)for_in0..< m {let input =readLine()!.split { $0 ==" " }.map { Int($0)! }, (a, b) = (input[0], input[1]) tree[a]!.append(b) tree[b]!.append(a)}// bfs를 통해 두 사람 사이 depth를 계산한다print(bfs(input[0], input[1]))funcbfs(_n: Int, _find: Int) ->Int { visited[n]=1var queue = [n]while!queue.isEmpty {let n = queue.removeFirst()guardlet tree = tree[n]else { continue } // 연결된 노드가 없을 수 있다.for next in tree {guard visited[next]==0else { continue }if next == find {return visited[n]// 시작 노드의 visited가 1이므로, visited[next]-1과 같은 값인 visited[n]을 리턴한다 } visited[next]= visited[n]+1 queue.append(next) } }return-1// 연결된 가족 관계 중 찾으려는 사람이 없다면 -1을 리턴한다.}
가중치 없는 그래프 G에서, 노드 i에서 j로 가는 경로가 있는지, 없는지 인접 행렬로 표현해야하는 문제이다.
알고리즘
인접행렬을 입력받아 인접 리스트로 만든다.
BFS를 이용하여 탐색하고, 인접 행렬 형태로 표현하여 출력한다.
접근방법
인접 리스트를 사용하면 단방향 간선을 표현하기 더 좋다
인접리스트로 그래프를 만들어서 방향이 있는 그래프를 표현하고, BFS로 어디를 방문할 수 있는지 계산해보아야한다.
이때, 기존 BFS처럼 자기 자신을 방문처리하면 안 된다. (내 자신을 방문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이다.)
Dictionary 초기화 꿀팁!
딕셔너리의 value가 리스트일 때, 만약 key가 처음 나오는 경우는 대입연산자를 사용해아하고, 이미 key가 존재하면 value에 append 연산을 수행해야한다.
이때 초깃값으로 딕셔너리 key 값에 빈 배열로 모두 초기화해주면 위 연산 없이 항상 append로 처리할 수 있다!
코드
let n =Int(readLine()!)!var map = [[Int]]()var tree = [Int: [Int]]()Array(0..<n).forEach { tree[$0]= [] } // dictionary 초기화// 인접행렬을 받아 인접리스트 tree에 저장한다.for y in0..< n {let input =readLine()!.split { $0 ==" " }.map { Int($0)! }for x in0..< n {if input[x]==1 { tree[y]!.append(Int(x)) } }}// 모든 노드에 대해 BFS 연산을 수행한다.Array(0..<n).forEach { map.append(bfs($0))}// 출력 형태에 맞춰 출력한다.map.forEach { $0.forEach { print($0, terminator:" ")}print()}funcbfs(_node: Int) -> [Int] {var result = [Int](repeating:0, count: n)// 인접 리스트로 표현할 배열, visited와 같은 역할을 한다. // result[node] = 1 -> 자기 자신을 방문처리 하지 않는다.var queue = [node]while!queue.isEmpty {let n = queue.removeFirst()guardlet tree = tree[n]else { continue } // 딕셔너리[n] 이 자식을 가지고 있는가?for i in tree {guard result[i]==0else { continue } // 아직 방문하지 않았다면 result[i]=1// 인접리스트에 1로 표현한다. queue.append(i) } }return result // 인접리스트 한 행을 리턴한다.}
Queue에서 pop 된 노드가 부모 노드이고, 이 노드에서 방문가능한 노드들이 자식 노드가된다.
주어진 입력을 기반으로 인접 리스트로 만들고, BFS를 이용하여 부모 노드를 출려한다.
접근방법
처음 접근했던 방법 (틀렸습니다)
처음에는 굳이 그래프 탐색을 하지 않고 문제를 풀 수 있다고 생각했다.
result라는 배열에 1만 1로 저장하고, 나머지 노드들에 0을 저장한다. (루트노드가 1이므로)
이후 입력받는 숫자 a, b에 대해서 result[a] > result[b] 라면, a가 b의 노드라고 생각할 수 있다. (예제에서는 제대로 출력된다.)
하지만 조금 더 생각하면 완전히 틀린 코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예시 코드의 경우 부모노드가 무조건 존재하는 상황밖에 없다. 하지만 다음과 입력을 생각해보자
3
2 3
1 2
이 경우는 2와 3을 봤을 때 result[2], result[3] 모두 0이며, 다음 입력 1, 2을 본 후에 2가 부모노드라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즉, 입력받은 즉시 부모노드를 결정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틀린 코드
let n =Int(readLine()!)!var visited = [Bool](repeating:false, count: n +1)var result = [Int](repeating:0, count: n +1)result[1]=1// result가 더 큰 것이 부모노드이다for_in1..< n {let input =readLine()!.split { $0 ==" " }.map { Int($0)! }let(a, b)= result[input[0]]> result[input[1]]? (input[0], input[1]) : (input[1], input[0]) result[b]= a}// 결과를 출력한다for index in2...n {print(result[index])}
입력 받은 값을 기반으로 인접 리스트를 만든다. 이때, 양방향 간선으로 간주하여 작성해야한다. (어떤게 부모인지 모르기 때문에)
이후 시작노드 1을 기반으로 그래프 탐색을 수행한다.
queue 연산을 기준으로 설명하자면
pop 된 현재 노드 = 부모 노드
탐색하며, 아직 방문되지 않아서 다음 queue에 들어가는 노드들 = 자식노드
queue에 다음 탐색할 노드를 넣을 때, result 배열에 부모노드 값을 저장해주자.
코드
let n =Int(readLine()!)!var tree = [Int: [Int]]()Array(1...n).forEach { tree[$0]= [] }var result = [Int](repeating:0, count: n +1)// 인접리스트로 입력받는다for_in1..< n {let input =readLine()!.split { $0 ==" " }.map { Int($0)! }, (a, b) = (input[0], input[1]) tree[a]!.append(b) tree[b]!.append(a)}// 시작노드 1을 기반으로 BFS 탐색을 수행한다.var queue = [1]while!queue.isEmpty {let n = queue.removeFirst()guardlet nodes = tree[n]else { continue }for i in nodes {guard result[i]==0else { continue } result[i]= n queue.append(i) }}for i in2...n {print(result[i])}